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패닝트리프로토콜
- 다이렉트 케이블
- 액세스 리스트
- 스패닝트리 알고리즘
- 스패닝트리
- 네트워크관리사
- 클래스
- 스위치
- ACL
- 패킷트레이서
- 네트워크관리사2급실기
- 구성모드
- IP
- 가상랜
- UTP
- vlan
- 라우터
- 스탠다드 액세스 리스트
- 스태틱 라우팅
- 브로드캐스트
- Cisco
- 네트워크
- STP
-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
- 네트워크관리사2급
- OSPF
- Rip
- bdr
- ICQA
- network
- Today
- Total
네린이 네트워크 성장기
VLAN 구성 - CISCO 네트워킹 예제 본문
VLAN 구성인데 이론은 순차적으로 올리도록 하겠다.
스위치는 그대로 2950T-24를 사용했다.
우선 다음과 같이 구성모드에서 vtp 도메인 네임을 cisco로 설정해 주었다.
그 다음 vtp 모드를 서버로 설정해 주었다.
프리빌리지드 모드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통해 설정이 잘 되었는데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fastethernet 0/1번을 트렁크로 세팅해 주었다.
다음과 같이 trunk 모드로 바뀌었고 2950T스위치에서는 IEEE 802.1Q(dot1q) 모드로 설정되어있고
네이티브 Vlan은 1번으로 되어있는걸 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이 Fa0/1이 트렁크모드로 설정되어있다.
그리고 다음 명령어로 vlan을 구성할 수 있는 수를 알 수 있다.
이 스위치는 255개를 만들 수 있다.
현재까지 VTP 도메인 이름을 정하고, VTP모드를 서버로 설정했다.
다른 스위치에서는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 로 트렁크모드를 설정해주어야 한다.
다음 구성모드에서 vlan 2를 생성하고 이름을 CCNA로 해주었다.
다음과 같이 생성된 것이 보인다.
삭제하려면 구성모드에서 no vlan 2만 입력해주면 된다.
어떤 포트를 vlan에 배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해주면 된다.
다음과 같이 fa0/5번 포트를 vlan 2번에 배정해주었다.
취소하려면 다음과 같이 no만 붙혀주면된다.
바뀐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간단한 예제를 따라해보았다.
하면서 느낀건 show 명령어로 설정한 것을 한번 더 확인해보는 것이
필수라고 생각했다. 예를들어 리눅스에서 폴더를 만들고 ls와 같은
명령어로 확인하는 것처럼 말이다.
아직 익숙치 않은 명령어가 많이 있다. 앞으로도 더 나올 것이고
점점 앞으로 나아가야겠다.
'Cisco Packet Trac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RIP 예제 (0) | 2025.03.07 |
---|---|
스태틱과 디폴트 네트워크 (0) | 2025.03.05 |
라우터의 중요한 모드 (0) | 2025.02.24 |
VLAN 구성 - CISCO 네트워킹 응용 (0) | 2025.02.07 |
카타리스트 스위치 구성 (1) | 2025.02.05 |